
우리가 별을 볼 때
- 저자<이혜오> 저
- 출판사책나물
- 출판일2022-08-16
- 등록일2023-03-23
- SNS공유
- 파일포맷EPUB
- 파일크기59 MB
- 공급사YES24
-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전자책 프로그램 수동설치 안내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태블릿,
보유 5,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오직 사랑을 동력으로 움직이는 빛나는 세계…나는 그 안에서 살고 싶었다.”
애틋한 성장소설이자 탁월한 퀴어소설
1인출판사 ‘책나물’이 처음으로 출간하는 소설이자 이혜오의 첫 소설. 『우리가 별을 볼 때』에는 ‘팬픽’을 즐기는 10대 여중생들이 등장한다. 팬픽은 팬픽션(fan fiction)의 줄임말로 흔히 아이돌 팬덤에서 창작한 이야기를 말하는데 주로 동성애를 다루며 수위가 높은 경우도 많다. 같은 아이돌그룹을 좋아한다는 이유로 둘도 없는 사이가 된 ‘나(주다인)’와 ‘J’는 자신들의 몸과 욕망에 대해서는 무지하고 무관심한 채, ‘팬픽’이라는 안전한 세계 안에서 서툴게 욕망을 표현하고 충족한다. 이들이 마주하는 팬픽의 세계에서 ‘J여신’(팬덤에서는 수준 높은 팬픽을 쓰는 이들에게 ‘여신’이라는 칭호를 붙입니다)을 빼놓을 수 없다. J여신은 팬픽이라는 장르에 진심이다. 레즈비언인 그가 쓰는 팬픽은 변명이나 증명 따위 없이, 그저 사랑에 대해 말한다. 그가 창조한 팬픽의 세계에서, ‘어떻게’도 ‘왜’도 없는 사랑만이 가득한 그 세계에서, 지긋지긋한 현실인 ‘호모포비아’는 설 자리가 없다.
이렇듯 『우리가 별을 볼 때』는 팬픽에 열광하는 이들의 마음, 그 뒷모습이 어떤 빛깔인지 들여다본다. 누군가에게는 팬픽이, 현실을 견디며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 필연적으로 만나야 했던 무엇일 수 있음을, 쓸쓸하고도 찬란했던 삶과의 연결고리였을 수 있음을, 섬세하게 설득하고 있다. 등장인물은 한 걸음 더 나아가 ‘나는 그(아이돌)를 사랑한 것일까, 소비한 것일까.’ 자신의 일방적 사랑 방식이 지닌 폭력성을 반성하고 성찰하는 모습도 보여준다.
저자소개
전염병 시국에서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우리가 별을 볼 때』가 처음으로 쓴 소설이다.목차
Chapter 1. 봄4월 이야기 (1) 최초의 4월
4월 이야기 (2) 기어이, 또는 마침내
Chapter 2. 여름
4월 이야기 (3) 연애담
4월 이야기 (4) 모든 문제의 시작은
Chapter 3. 가을
4월 이야기 (5) 이별 이야기
4월 이야기 (6) 이별 이야기
Chapter 4. 겨울
4월 이야기 (7) 호수 외전
4월 이야기 (8) 다시 4월
Chapter 5. 본론
Epilogue 다이네 허니
작가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