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과 우리 국군 이야기
- 저자김성웅
- 출판사지식과감성#
- 출판일2018-03-22
- 등록일2018-11-16
보유 5,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우리 옛말에, `옛것을 확실히 알게 되면, 그때서야 비로소 새것을 논할 수 있게 된다.`는 말이 있다. 지나간 역사를 바로 보고, 미래를 대비하는 자에게 두 번 다시 아픔은 없다. 필자의 바람은 이 책을 통해서, 쓰라린 과거의 역사를 회고해 보고, 책임 있는 위치에 있는 오늘의 간부들을 일깨우며, 미국 등 국제사회와 함께 이 시대를 살아가는 동반자로서 미래를 슬기롭게 준비하자는 생각이다.
저자소개
육군사관학교 졸업하고, 32년간의 군 복무 후 대령으로 전역하였다. 군 생활 중 각급 부대의 지휘관과 참모를 경험하였고, 군사 외교관으로서 한/미연합부대와 미국, 유럽, 중동, 서남아 등지에서 모두 15년간을 공부하고, 근무하였다.BR BR [주요 해외 근무/학력]BR 유엔 평화유지군(PKO) 인디아-파키스탄 정전감시단 부지휘관BR 주 이집트(요르단, 튜니지아) 한국대사관 국방무관BR 주 오스트리아(헝가리) 한국대사관 국방무관BR 미국 육군 지휘참모대학 교환교관BR 미국 웹스터 대학원 경영학 석사BR 미국 캔사스 주립대학교 교육학 석사BR 미국 해군 대학원 OR/SA(운영분석학) 석사BR 미국 국방언어학교(DLI)BR BR [저서]BR 어느 군사 외교관 이야기BR 미군과 우리 국군 이야기
목차
제1부 한국의 독립과 6.25 전쟁간 미국의 역할 제1장 미군의 한반도 진입과 미 군정 시대 1. 수도 서울에 웬 외국군? 2. 한국 독립의 계기가 된 루즈벨트 대통령의 분노 3. 너무나 쉽게 그어진 북위 38도선 4. 루즈벨트의 신탁통치론 무산과 미군 철수 5. 미국에 부담스러운 존재가 된 한국 6. 미 극동 방위선에서 제외 제2장 6.25 전쟁의 발발과 휴전협정 1. 트루먼 대통령의 남침에 대한 인식 전환과 유엔의 개입 2. 맥아더 장군의 한국전 참전 건의 3. 유엔군사령부의 창설과 한국군의 (전시)작전권 이양 4. 6.25, 처절한 고통, 그 뼈아픈 경험 5. 각자도생(各者圖生) 6. 한국군의 리더십 수준 7. 끝나지 않은 전쟁 - 정전협정의 체결 8. 한미 상호방위 조약 - 주한 미군의 한국 주둔 근거 9. 한반도 현상유지론과 완충지대론 제2부 한국과 미국의 군대 문화 제1장 굴곡진 한국군의 군대문화 1. 주한 미군 - 전쟁으로 인한 문화적 공백의 대체 2. 전쟁 속에 자리 잡은 군국 일본의 군대 문화 잔재 3. 가난 속에서 이어온 거칠었던 병영문화 4. 한국군으로 미국군의 군대 문화 유입 5. 어려웠던 한국의 국제화와 주한 미군의 존재 6. 한국군의 `국제화` 통로 - 미국 군사학교 위탁교육 7. 한국군의 미국 군사력 체험 - 강한 `미국화` 주입 제2장 한국군의 독자적인 군대 문화 형성 욕구 1. 집단 지향적인 한국인의 정서 2. 한국 군대문화 패러다임의 변화 3. 미국의 군대 문화에 대한 실용주의적인 접근 제3장 건전한 시민의식과 건강한 군대 문화 1. 존중과 배려 2. `인간 존중`(Respect) - 가장 기본적인 마음가짐 3. 구타와 욕설- 교정의 수단일까? 감정의 표현일까? 4. 정직 (Integrity)과 청렴 5. 봉사, 희생 그리고 헌신 6. 양보와 질서, 그리고 예의 7. 여성과 노약자에 대한 배려 8. 글로벌 마인드 - 언어와 문화에 대한 이해 9. 신고 및 고발 정신 (Report) - 건강한 사회 제4장 미국 군대 문화 이해 - 한미 연합 부대와 미국군 1. 명예를 먹고 사는 군인 2. 철저한 프로 정신 (Professionalism) 3. 군사적 전문성 (Specialty) 4. 창의력 - 창조적인 아이디어 5. 지휘관 보직 - 부대를 `잠시 맡아 있는 것` 6. 미 육군의 군무원 7. 많이 다른 한, 미의 부사관 제도 8. 한국계 미국인 (코메리칸) 미군병사 9. 규정 준수 10. 안전사고 예방 11. 평가업무, 면담 그리고 고충처리 12. 상훈업무 13. 군대 가족 / 군인 공동체 (Military Community) 의식 제5장 한미 연합부대 근무 1. 훈련간 협조와 평가 2. 사후 강평 (AAR) 제도 3. 동등한 훈련소요의 분담 4. 예약과 취소 5. 생산적(?)인 `회의 문화` 제3부 한국군 군사력 건설과 미군의 역할 제1장 한국군 전투력 발전에 기여한 미군 1. 6.25 전쟁 중 이루어진 군사력 증강 2. 국가 전략, 국방 전략 부재 속의 군사력 건설 제2장 모방으로 시작된 자주국방의 신개념 1. 군사교리 (Doctrine)의 이해와 정립 2. 새로운 군의 편성 (Organization)과 운용 3. 무기체계의 최신화 (Material) 4. 교육 훈련 (Training) - 군사 교육 체계 5. 군 간부의 정예화 (Leadership) 제3장 주한 미군 지휘체계 변천 1. 주한 유엔군 사령부 (UNC- United Nations Command) 2. 한미 연합군 사령부 (CFC- Combined Forces Command) 3. 주한 미군 사령부 (USFK- United States Forces in Korea) 4. 전쟁연습과 전시증원 (RSOI) 제4부 주한 미군과의 현안 과제 제1장 관심을 가지고 해결해야 할 현안들 1. 주한 미군 지위협정 - 어두웠던 과거의 중심 2. 주한 미군기지의 재배치 (YRP / LPP) 3. 기타 협정에 명시된 사항 이외의 사건에 대한 처리 4. 전시 작전통제권과 평시 작전통제권 제2장 한반도 정세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한미협정 1. 한미 미사일 협정 2. 한미 원자력 협정 제5부 미래의 전략적인 동반자 제1장 전시 작전